제품디자인에 활용되는 해양 쓰레기와 해조류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제품디자인에 활용되는 해양 쓰레기와 해조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무진 댓글 0건 조회 215회 작성일 24-10-29 14:27

본문

동식물 멸종, 생태계 파괴, 농경지의 사막화 등 육상 환경 오염으로 인해 자원이 빠르게 고갈되어 가는 가운데 그 대안
으로 해양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이는 지구 생물의 90%가 바다에 서식하고 있으며 해양 생물의 재생산력은 육상 생물의 5~7배에 이르러,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해양 생물 자원은 식량 이외에 의약과 공업연구에도 활용되고 있어 해양 생물 공업과 해양 바이오 에너지라는
새로운 산업이 주목받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해조류를 활용한 신소재 개발을 들 수 있습니다.
해조류는 육상식물보다 빠르게 성장해서 수확량이 많고 생분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친환경 소재의 원료로 각광받고 있지만 바다 역시 환경 오염으로 인한 큰 피해를 겪는 것이 현실입니다.
즉, 육지에서 바다로 흘러오거나 바다에 직접 버려진 폐기물이 해양 생물의 생존을 위협하고 해양 생태계를 파괴할뿐 아니라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화하여 육지 생태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해양폐기물에는 어패류 껍데기, 해안에 쌓여 있는 쓰레기, 선박에서 버려진 어업폐기물 등이 포함되는데 특히 육지에서 바다로 버려진 쓰레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중 폐플라스틱이 60%를 차지합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바다에 떠다니는 플라스틱 양은 전세계적으로 1억 5천만 톤에 이르며, 우리나라의 경우 2014년 이후 누적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약 68만 톤에 이른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한국 해양수산부,2022) 이에 따라 해양쓰레기를 수거하여 리사이클링 제품을 생산하거나, 바다에서 얻은 자원으로
친환경 신소재를 개발하는 여러 시도가 펼쳐지고 있는데, 이번 컨텐츠에서는 글로벌 주요 스타트업의 사례를 살펴보려 합니다.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단으로

TEL: 010-4083-5466 FAX: 010-4083-5466 주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610 천호역효성해링턴타워 B동 2층
대표이사 : 손문규 사업자등록번호:525-88-00303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왕국

Copyright © HOPEPLAN1.com.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